임신중독증은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성 질환이다. 정확한 명칭은 전자간증이다.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이란 임신 중 고혈압이 발견된 경우이다. 임신 전부터 고혈압이 있거나 임신 20주 이전에 고혈압이 발견되는 경우 만성 고혈압이라 하고, 임신 20주 이후에 새로이 고혈압이 발견되고 출산 후 정상화되는 경우 임신성 고혈압이라 한다. 고혈압과 동반되어 소변에서 단백 성분이 나오거나 혈소판 감소, 간 기능 저하, 신 기능의 악화, 페부종, 두통, 흐린 시야 등의 동반 증상이 생기면 전자간증, 또는 자간전증이라 하며 이는 질병이 더 진행한 형태이다. 자간증은 임신 중에 고혈압성 질환을 원인으로 경련, 발작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한다.
임신중독증 증상
임신중독증 증상은 초기에는 단순히 혈압이 오르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정기 검사에서 혈압 상승의 소견이 발견되며 별다른 임신중독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질환이 진행될수록 다양한 임신중독증상이 나타나는데 부종이 심해지고, 소변 양이 감소하며, 두통, 상복부 복통, 시야장애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임신중독증 증상이 나타날 때는 이미 매우 심각한 증상으로 태아의 성장 발육부전이나 심한 경우 태아 사망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임신중독증과 제왕절개
임신 중독증과 제왕절개는 혈소판수치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심한 임신 중독증 중증 전자간증에 속한다고 볼 수 있으며, 임신성고혈압이라 수술을 하는 것은 아니며, 산모상태가 나빠지거나 태아가 위험하므로 유도분만의 여유가 없을 때 수술을 하게 된다. 임신중독증에 걸렸다고 하여 꼭 제왕절개수술을 할 필요는 없으며 유도분만 및 자연분만을 하는 것이 좋다.
고령임신에 대해
만 35세 이상 여성이 임신을 하는 경우 고령임신이라고 한다. 고령임신은 임신중독증, 난산, 조산,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산후출혈 등 위험이 증가한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나면서 결혼이 늦어지고 임신시기도 이에 따라 늦춰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고령임신 했을 경우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고위험 임신으로 규칙적으로 진찰받고, 산전관리를 철저하게 받아야 한다. 그 밖에 엽산 등 산모에게 도움이 되는 영양소를 보충해 여러 임신 합병증을 예방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ㆍ출처 : 팸타임스 김현욱 기자
태몽 풀이 / 태명 짓기 / 셀프 이름짓기, 이름풀이 인터넷 임신 출산 사이트ㆍ마미스토리ㆍwww.mommystor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