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코펜하겐 묄렌베리·프레데릭스베리 병원(Bispebjerg And Frederiksberg Hospital)의 루이세 벡트루프 박사 연구팀이 병원 등 공공 서비스 기관에 근무하는 여성 2만2천744명의 6년간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로이터 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이 중 1만47명은 임신 3~21주 사이에 매주 며칠씩 야근을 했고 1만2천697명은 야근을 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어느 한 주에 야근을 한 여성은 그다음 주에 유산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임신 8~22주 사이 어느 한 주에 2일 이상 야근을 한 여성은 그다음 주에 유산할 위험이 야근하지 않은 여성보다 32% 높았다.
임신 4~22주 사이에 26일 이상 야근을 한 여성은 야근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유산 위험이 2배 이상 높았다. 다만 이에 해당하는 여성은 단 8명뿐이었다.
전체적인 결과는 임신 연령, 체중, 흡연, 이전의 출산 횟수, 유산 전력, 사회경제적 형편 등 유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수들을 고려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야근이 유산과 이처럼 연관이 있는 이유는 숙면할 수 있도록 밤에 분비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야근 중 조명 노출로 분비량이 줄어들기 때문으로 연구팀은 추측했다.
멜라토닌은 뇌의 송과선에서 분비돼 24시간 생체리듬을 조절하지만, 태반과 난소 등 말초기관에서도 분비되며 특히 태반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직업-환경 의학'(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온라인판에 실렸다.
ㆍ출처 :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태몽 풀이 / 태명 짓기 / 셀프 이름짓기, 이름풀이 인터넷 임신 출산 사이트ㆍ마미스토리ㆍwww.mommystor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