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임신 경험이 있는 여성 10명 가운데 1명 이상은 임신 중 한 차례 이상 술을 마셨고 10명 가운데 3명 가까이는 임신 중 매일 3잔 넘게 커피를 마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임신 중 알코올이나 흡연, 카페인 노출은 뱃속 태아의 위험 출산은 물론 태어난 아이가 어른이 돼서 여러 만성질환에 걸릴 가능성을 높이는 만큼 임신 계획이 있는 부부는 특히 3개월 전부터 술을 마셔선 안된다는 지적이다.
이대목동병원 태아알코올증후군 예방연구소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국제환경연구 및 공중보건저널’ 3월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의뢰로 진행된 ‘우리나라 임신 준비 및 출산에 대한 조사’에서 최근 3년간 임신 경험이 있는 여성 167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대상자의 11.58%가 임신 중 1회 이상 음주를 경험했고 이 중 1.43%는 임신 기간 내내 음주를 했다.
임신한 여성이 술을 마시면 태아의 뇌를 비롯한 여러 기관에 바로 영향을 미쳐 아이에게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임신 중 알코올에 노출된 아이는 그렇지 않은 아이에 비해 선천성 장애(기형 및 중증질환 포함)를 진단받을 확률이 약 11.24배 증가했다. 선천성 대사 이상 질환 진단 확률은 10.66배 높아졌다. 임신 중 간접흡연에 노출된 아이가 저체중일 확률이 1.62배 증가하고 임신 중 매일 커피 3잔 이상 카페인에 노출된 아이는 저체중일 확률이 1.92배 상승했다.
간접흡연 피해도 컸다. 전체 조사대상의 25.43%가 가정이나 직장 내 간접흡연에 노출됐다. 이 중 1.13%는 임신 중 직접 흡연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임신 중 매일 3잔 이상 커피를 마신 경우도 28.18%에 달했다.
김영주 태아알코올증후군예방연구소장은 6일 “임신한 여성의 태아가 알코올, 담배 등 부적절한 환경에 노출되면 어른이 되어서도 고혈압, 당뇨, 대사질환 등을 겪을 수 있는 만큼 임신을 준비하거나 임신 중인 여성은 금주, 금연을 지켜야 한다”며 “임신을 계획하는 모든 부부는 3개월 전부터 금주하라”고 권고했다.
논문의 제1저자를 맡은 태아알코올증후군예방연구소 오소연 박사는 “앞으로도 임신부 및 태아에 알코올, 흡연, 카페인 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다방면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ㆍ출처 : 국민일보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태몽 풀이 / 태명 짓기 / 셀프 이름짓기, 이름풀이 인터넷 임신 출산 사이트ㆍ마미스토리ㆍwww.mommystor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