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체중 증가는 태아 성장과 산모 건강을 위해서 어느 정도 필요한 부분이나 15kg이상의 과체중은 임신 중 산모의 임신중독증을 유발하고 당뇨나 거대아를 만들 수 있으며 무릎, 허리 등의 관절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임신 전, 중, 후 체중조절이 필요하다.
산후비만 역시 임신 중 과도하게 증가한 체중이 출산후 다 빠질 수 없어 발생한 임신후유증의 하나다. 출산 후에 따로 살이 쪄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임신 중 과체중에 의한 것이 많다. 엄밀하게 말하면 산후비만이라기보다는 임신 중 비만이다.
일반적으로 임신 중 체중은 임신 전 정상 체중일 경우, 12~13kg미만 증가하는 것이 정상이다. 임신 중 적정 체중 증가의 범위는 임신 전 산모 체중과 관련이 있으므로 필히 임신 전부터 체중조절에 신경 써야 한다. 특히 표준체중을 넘는 산모라면 임신 전 체중을 줄여 놓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체중이 13kg 증가한 산모를 기준으로 볼 때, 분만시 태아를 비롯한 태반, 양수 등의 배출로 약 5.5kg이 감소한다. 이후 분만직후부터 3주 사이 수분과 땀, 소변 등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데 되면서 약 4kg 감소하게 된다. 이어 분만 후 3주부터 6개월 사이 2.5kg의 체중이 자연스럽게 빠지게 되어 총 12kg정도가 줄어들게 되는 것으로 나머지 1~1.5kg은 몸에 남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임신 중 약 15kg이상 증가하는 산모의 경우 임신 중 비만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출산 후 자연스러운 체중 감소는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산후비만 치료는 우선 노폐물 배출이 왕성한 시기인 산후직후부터 3주 사이에 노폐물의 배출을 도와주는 한약을 복용함으로써 노폐물의 배출을 도와 체중 감량을 활발히 일어나게 한다. 동시에 규칙적이고 균형 잡힌 식생활은 필수이며 요가, 체조법 등의 가벼운 운동이나 적극적인 모유수유 등이 도움이 된다.
ㆍ출처 : 머니투데이 송광섭 기자
태몽 풀이 / 태명 짓기 / 셀프 이름짓기, 이름풀이 인터넷 임신 출산 사이트ㆍ마미스토리ㆍwww.mommystory.co.kr